프로젝트학습 설계하기-지식구성하기

by 이동국 posted Mar 12,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지식구성하기 
 
다른 수업에 비해 힘든 설계과정, 비교적 긴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프로젝트 학습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일반적인 교실수업과 달리 프로젝트 수업은 세상의 문제를 접할 수 있고, 지식의 분석, 적용, 평가, 창조와 같은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 구성은 매우 중요한 활동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지식 구성은 단순히 특정 내용을 문자 그대로 암기하는 것이나, 정보를 분석, 해석, 종합 평가하여 고차적원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말합니다. 블룸의 개정된 텍사노미(Bloom’s Revised Taxonomy)에 따르면 인간의 사고력을 저차원에서 고차원적 사고력으로 제시하고, 기억, 이해, 응용, 분석, 평가, 창조의 순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프로젝트학습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수업방법은 고차적인 사고력을 키워주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룸의 개정된 테사노미에서 가장 위계가 높은 ''창조'를 촉진하기 위해서 설계하기(Designing), 구성하기(Constructing), 계획하기(Planning),제작하기(Producing), 발명하기(Inventing), 창안하기(Devising), 만들기(Making) 등의 활동이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출처: 계보경, 김재옥(2013).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연구자료 RM 2013-6. p.4>
이러한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을 촉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수업을 잘 설계해야 겠지요? P21(http://p21.org/)에 따르면 프로젝트 지식 구성 유형으로 '탐구'와 '설계'과정이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탐구활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실험 및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설계활동은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찾아, 설계와 제작의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은 이러한 문제해결과정을 거친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과정에 거꾸로 수업, 토의/토론, 표현 활동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이 접목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공동체에서 협력적으로 수업 설계를 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지식구성하기입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는 교과별로 다양한 기능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은 핵심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필수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는데요~ 문제해결절차에 따라 각 기능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수업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선생님들이 수업의 순서에 따라 기능을 나열하고, 각 기능별로 어떻게 수업을 전개할지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수업 설계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