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 조사하기

 
여러분들에게 '가족여행 계획 수립하기', '신제품 개발하기'.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알아보기' 등의 과제가 주어진다면 제일 처음 무엇을 하나요? 아마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게 될 것입니다. '가족여행 계획 수립하기'를 예를 들면, 먼저 다녀온 사람들의 이동경로, 맛집, 후기 등을 검색하여 내가 가고자 하는 코스에 포함시킬지 다른 코스를 선택할지 결정합니다. 이렇듯 조사하기 활동은 인간이 어떤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학습에서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이 학습 초기 단계에 기본적으로 이루어집니다. 학생들은 주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자료를 수집합니다. 자료는 특정 기준 하에 유익한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의미 없는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얼마나 양질의 정보를 수집했는가는 이후 이어지는 지식구성 활동과 산출물의 수준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학습을 설계하는 교수자는 '조사하기'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와 실행 단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런데 학생들의 조사하기 활동을 지켜보면, 이 활동이 학생들의 지식구성을 촉진할까?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학생들이 인터넷으로 자료를 별도의 가공과 평가 과정 없이 그대로 들고 오는 경우도 있고(ctl+c, ctl+v), 과제와 관련이 없거나 신뢰롭지 않은 자료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또, 흥미롭거나 자극적인 자료로 인해 학습목표로부터 벗어난 자료를 탐색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자료를 형식적으로 가져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 수집 활동은 학습 활동의 질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학습에서 많은 시간을 들게 합니다. 그렇다면 조사하기 활동을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체계적인 조사하기 활동을 위해 1) 조사 계획 수립, 2) 수집된 자료의 평가, 3) 정보의 윤리적 이용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1) 조사 계획 수립하기
조사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 또는 성취 기준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수집할 정보의 내용, 방법, 장소 등을 결정해야 합니다. 첫째, 수집할 정보의 내용은 문제 확인 과정을 통해 도출해야 합니다. 문제 확인 단계에서 모둠에서 알고 있는 것, 모르고 있는 것, 알고 싶은 것을 명확히 분석하여 조사의 내용으로 선정합니다. 둘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설문조사, 인터넷, 인터뷰 등 어려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집할 정보의 내용이 결정되었다면 정보를 가장 신뢰롭고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원천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마을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학습에서 인터넷 자료보다는 마을 주민이나 관련 시설에서 일하는 사람을 인터뷰 하는 것이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정보 수집 방법을 선택할 때는 효율성을 따져야 합니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면 프로젝트학습에서 그 일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모둠에서 마을 주민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면 얼마만큼의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지 계산해 보게 해야 합니다. 이때 교사는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한 적절한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셋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소를 결정해야 합니다. 교실 수업에서는 주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게 됩니다. 무선 환경이 갖춰진 교실, 컴퓨터실 등 가용한 자원을 분석하여 최적의 장소를 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터뷰나 설문 조사의 경우 단 시간내에 정보 수집이 어려우므로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수집된 자료의 평가
학생들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면 학습활동에 유용한 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한 평가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첫째, 문제와 연관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간혹 학습자들은 학습의 범위를 넘어서는 자료를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프가 시각적으로 훌륭해 보이거나 이미지가 좋아보여서 문제와 크게 관련이 없는 자료도 확인하려고 합니다. 초기 문제 확인 단계에서 설정한 기준에 따라 학습활동에 꼭 필요한지 판단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둘째, 해당 정보가 신뢰로운지 확인해야 합니다. 수집한 자료가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만들어 졌는지, 출처가 명확한지, 누군가로부터 왜곡된 자료가 아닌지 신뢰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최근 가짜 뉴스라고 불리는 누군가에 의해 조작되거나 왜곡된 정보가 참으로 많습니다. 이런 정보를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은 '조사하기'단계에서 필수적으로 길러져야 합니다. 
 
3) 정보의 윤리적 이용
수집한 정보를 윤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저작권, 표절과 인용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저작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출처만 밝히면 인터넷의 자료를 활용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는 무의식 중에 그들이 만드는 UCC나 멀티미디어 자료에 최신음악이나 인터넷서 가져온 그림을 넣기도 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업 자료는 추후 저작권에 대한 분쟁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에게 저작권에 대해 분명히 사전 교육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교사의 입장에서 프로젝트학습 중간 단계에서 일일히 저작권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때 규칙을 제공하면 좋습니다. 자신이 제작하지 않은 음악, 동영상, 사진은 활용하지 않는다. 다름 사람으로 부터 초상권에 대한 허락을 득한다. 인용을 철저히 한다 등의 규칙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표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인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 홍길동(2019). 우리고장의 기후변화 조사. 한국기후학술지, 17(2), 1~30. 
-서적: 성춘향(2019).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 서울: 남원사 
-인터넷자료: 한국윤리교육포털(http://edu.copykiller.com). (2019.03.26.). URL: http://edu.copykiller.com/edu-source/faq/?mod=document&uid=156
인용방법을 알려주지만 무단으로 문단 이상의 내용을 통채로 가져오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최종 보고서 제출 단계에서 카피킬러와 같은 표절 방지 도구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문서를 업로드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장의 비율을 백분율로 알려줍니다.  최종보고서의 윤리성에 대해 학생들에게 알려준다면, 표절에 더 신경을 쓸 수 있겠죠? 
 
3.jpg

 

 

?

  1. 프로젝트 학습에서 '문제'의 기능

  2. 프로젝트학습 설계하기-조사하기

  3. 프로젝트학습 설계하기-스캐폴딩 설정하기

  4. 프로젝트학습 설계하기-자원활용하기

  5. 프로젝트학습 설계하기-지식구성하기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